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E-퓨얼 내연기관 자동차 2035년 이후에도 판매 가능??

by 쿠아왕 2023. 4. 3.

E-퓨얼 내연기관 자동차 2035년 이후에도 판매 가능??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은 2035년 이후에는 내연기관 자동차를 판매 못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10년 정도 남았는데요. 유럽 연합은 2035년부터는 내연기관 자동차를 역사 속으로 완전히 퇴출시키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환경 때문인데요. 디젤자동차를 운행 하시는 분들은 DPF와 요소수를 잘 아시죠? DPF와 요소수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장치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유럽연합에서 2035년 이후에도 판매가 가능하다는 내연기관 자동차가 있는데요. 바로 E-퓨얼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자동차 입니다. E-퓨얼 자동차는 2035년 이후에도 판매가 가능하다는 조항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E-퓨얼은 무엇일까?

 

E-퓨얼은 간단하게 말하면 인공합성 연료 입니다. E-퓨얼은 수소+이산화탄소를 인공으로 고온 고압으로 합성하여 만드는 연료입니다. 성분은 기존 석유와 거이 같다고 합니다. E-퓨얼에 불을 붙이면 검은 그을음이 생기면서 불이 붙는데요. 이는 경유와 아주 유사한 연료라고 볼수 있습니다. 보통 땅에서 캔 석유는 탄소와 수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섞여 있다 보니 연소 과정에 많은 불순물들도 같이 연소가 되어 엔진에 무리가 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E-퓨얼은 인공으로 제작을 하기 때문에 불순물이 없고 원하는 성분으로 섞어서 만들 수 있습니다.

 

E-퓨얼은 경유만 가능한가?

 

E-퓨얼도 휘발유, 등유, 경유로 만들수 있습니다. 석유와 같은 증류 방식으로 휘발유, 등유, 경유를 만들 수 습니다.

E퓨얼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co2나 대기중에 퍼져 있는 co2를 포집하여 재사용합니다. 인공 석유라 할지라도 석유는 석유다! 탄소 배출이 없을까? 하는 지적도 있지만 전문가 말에 의하면 기존 석유와 달리 추가 탄소 배출이 없다고 합니다.

황이나 납 같은 불순물이 없어 연소시 환경오염도 적다고 합니다.

 

E-퓨얼 내연기관 자동차는 누가 만드는가?

 

유럽 연합이 내연기관 자동차 규제를 강화를 하면서 전 세계 내연기관 자동차 제조 1위 국가인 독일에서 E-퓨얼 예외 조항을 건의했고 유럽연합은 독일의 건의를 들어줬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만들게 된다면 독일이 첫 번째로 만들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한국의 E-퓨얼

 

상당기간 내연차와 전기차가 공존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e-퓨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데, 국내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원료로 쓰이는 수소를 대부분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만큼 우선 경제성 확보가 관건입니다. 또 e-퓨얼 역시 질소산화물 등 일부 오염물질을 배출한다는 점도 한계로 꼽히고 있어 국내 환경법도 손을 봐야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어 아직은 갈길이 멉니다.

 

현재 전기차가 무수히 많이 나오곤 있지만 아직까지 전기차에 대한 인식이 그렇게 좋지 많은 않습니다. 전기차 고장시 수리가 가능한 카센터를 찾기 어렵고 그렇다고 서비스센터를 가려니 돈은 비싸고, 차량 구매시 정부 지원금이 나온다고 해도 차량구매 가격이 너무 비싸고 겨울 되면 운행 키로수가 저감 되고 아직 까지도 인프라가 내연기관차보다 불편하여 사람들이 잘 구매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하고 인프라 구축도 되겠지만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넘어 서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래 2035년에는 지금보다 낳아 지겠지만 현재로써 내연기관 차가 E-퓨얼이라는 대체 에너지로 인해 수명이 연장된다는 것이 저로써는 너무 좋네요. 저는 모든 내연기관 자동차가 사라진다면 그때 전기차를 구매할 생각 입니다. 전기차를 한달 정도 운행해 본 결과...충전할때 싼거 말고는 별 메리트를 느끼지 못해서요ㅎ;